[건강음식] 소금 - 소금의 활용법, 소금의 효능과 효과 다양한 사용 salt
1. 밤보관
알밤을 소금물을 짭짭하게 푼 다음 알밤을 하루쯤 담가 두웠다가 물기를 뺀다음 말려 보세요.
알밤에 묻어있던 벌레알이 사라져 벌레먹은 알밤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2. 야채의 농약제거
모든 채소의 경우 조리하기전에 채소를 소금물에 절이는 것도 농약을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흔히 김치를 담글 때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게 되는데, 절여진 배추에서 물이 나오면서 이 물과 함께
배추에 묻은 농약도 빠져 나오게 된다. 배추를 저릴 때는 하룻밤을 재우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배추의 단물이 많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좋지 않다. 배추에 소금을 넉넉히
우려서 3~4 시간 정도 저렸다가 씻은 후에 곧 속을 넣는 것이 훨씬 배추의 맛이 좋다.
소금물에 절이는 방법 외에 식초에 절이는 방법도 있다. 채소에 식초를 붓고 5~6분 정도 절인 후 꼭
짜내면 농약의 독성을 줄일 수 있다
딸기를 세제로 공들여 씻는 사람이 많은데, 딸기는 껍질이 단단하지 못해 세제가 속에까지 스며들어
맛이나 향기를 떨어뜨리기가 쉽다. 딸기는 큰 그릇에 소금물을 풀어 놓고 꼭지를 딴 것을 살짝
씻어내는 정도면 충분하다.
요즘은 과일에도 농약을 많이 치기 때문에 과일을 깨끗이 씻기가 어렵다. 이럴 때 식초를 조금
떨어뜨린 물에 과일을 씻으면 깨끗하게 씻겨진다.
3. 마늘장아찌
소금에 담그는 법 : 항아리에 마늘을 넣고 물에 식초(3컵)를 섞은 물을 붓고 일주일 정도 담그어 둔다.
매운 맛이 삭으면 물을 따라 붓고 소금(1컵)과 설탕(1/2컵)을 넣어 펄펄 끓여 식힌 다음 항아리에
다시 부어 서늘한 곳에 밀봉해 둔다. 보관을 잘하면 오래될수록 맛이 든다.
4. 두부전
두부전을 부칠 때는 두부의 물기를 빼고 굽는다 해도 잘 구워지지 않을 뿐 아니라 두부가 눌러 붙어
두부살이 처지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먼저 냄비에 소금물을 조금 끓인 다음 두부를 적당한 크기와
두께로 잘라서 냄비에 넣고 다시 끓인다. 잠시후 두부를 꺼내어 부치면 처지지 않고 잘 부쳐진다.
또 두부를 데칠 때도 끓인 물에 소금을 조금 넣는다. 그러면 두부가 딱딱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참기름 보관
나물 등을 무칠 때 한 두 방울씩 사용하는 참기름은 값이 비싸서 조금씩 아껴 먹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오랫동안 두고 먹으면 기름이 찌들고 고소한 맛도 덜하게 된다. 참기름을 담은 병을
소금 속에 묻어 두면 오래 되어도 변하지 않고 금방 짠 참기름처럼 신선하고 고소하다.
6. 맛있는 밥짓기
밥을 안칠 때 물에다 차숟가락 하나 정도의 소금과 한 숟가락 정도의 샐러드 오일을 넣어 지으면
밥이 훨씬 잘 퍼지고 윤기가 도는 맛있는 밥이 된다.
7. 땅콩맛있게 먹기
땅콩의 속껍질을 까지 말고 그냥 소금물에 약간 담갔다가 껍질째로 먹으면 맛도 좋고
소화도 잘 되어 술안주로 좋다. 땅콩의 겉껍질째로 찜통에서 수증기로 쩌서 뜨거울 때 껍질을
벗겨먹는 맛도 또한 특이하다.
8. 기름튀지 않게
야채와 음식재료를 프라이팬에 볶을 때 불이 너무 세면 기름이 여기저기 튀어 옷과 주방이 엉망이
돼 버리고 살갗에 닿으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기름에 볶아 요리할 때 소금을 손가락한줌 프라이팬에
넣은 뒤 재료를 넣어보자. 그러면 기름이 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안심하고 요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