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감자, 옥수수 효능과 효과
간식으로 즐기기 좋은 고구마, 감자, 옥수수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음식 3대장 고구마, 감자, 옥수수에 대해 알아볼까요?
[고구마]

호불호 없는 국민 간식, 고구마! 특유의 달콤한 맛 덕분에 다양한 요리나 디저트로도 널리 활용되는 작물 중 하나랍니다. 인기만큼 영양소도 엄청난데요, 고구마는 칼륨 함량이 높아 체내 나트륨 배출 및 혈압 조절에 도움을 줘요. 또, 고구마를 자른 단면에서 나오는 흰색 유액 속 ‘알라핀’ 성분은 장운동을 촉진해 변비를 막아 주고, 비타민 C가 풍부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등 신경 안정에 도움을 줍니다.
맛 좋은 고구마 고르는 법 또한 중요하겠죠? 고구마를 살 때는 단단하며 표면에 흠집이 없는 것으로 골라주세요. 보관 시에는 서늘하면서 통기가 잘 되는 곳이 좋은데, 햇빛이 들거나 온도가 높으면 싹이 틀 수 있기 때문이에요.
고구마는 열을 가할수록 단맛이 강해지는 채소로, 더욱 맛있게 먹으려면 삶거나 구워 먹는 것이 좋은데요, 껍질에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최대한 깨끗이 씻어 껍질째 먹는 것이 좋아요.
[감자]

감자는 쌀, 밀, 옥수수와 함께 4대 식량 작물로 꼽히는 구황작물이에요. 튀김, 구이, 조림 등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는 팔방미인같은 식재료입니다. 식감이 포슬포슬하고 전분이 많은 분질감자는 튀김 요리로, 식감이 쫀득하고 수분이 많은 점질 감자는 국물이나 볶음 요리에 적합하죠. 감자는 사과보다 3배 많은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며, 칼륨 함량이 높아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해 혈압을 낮춰주는 가을 제철음식이에요.
좋은 감자 고르는 법은 정말 쉬워요! 먼저 감자 표면에 흠집이 적고, 무거우면서 단단한 것으로 골라 주세요. 단, 녹색 빛이 돌거나 싹이 난 것은 반드시 피해야 해요. 푸릇푸릇한 이 싹에는 ‘솔라닌’ 이라는 독성 성분이 있는데, 이는 구토, 현기증, 목 가려움을 유발하고, 감자의 아린 맛을 증가시켜요. 솔라닌은 감자를 익혀도 없어지지 않으니 싹 난 감자는 반드시 감자의 싹을 완전히 도려낸 후 사용해주세요!
[옥수수]

달콤하고 쫀득한 옥수수 또한 입 안에서 톡톡 터지는 재미가 있는 가을 제철 구황작물입니다. 노란색, 검은색, 흰색, 갈색 등 열매 색이 다양해 보는 재미까지 있죠. 옥수수에는 비타민 B1. B2, E 등 무기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함유되어 있어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줘요. 또, 옥수수 수염은 볶아서 차로 끓여 마시면 부기를 빼 줘 많은 분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죠.
팔방미인 옥수수는 아쉽게도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해 우유나 콩 등 단백질 함량이 높은 식품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더욱 좋은데요. 옥수수 구매 시에는 겉껍질의 색이 선명한 녹색을 띄고, 수염은 흑갈색을 띄며 풍성한 것으로 고르는 것이 좋아요.
옥수수는 삶는 것보다 찌는 것이 훨씬 맛이 좋은데요. 속껍질을 한 겹 남겨 조리하면 수분이 유지돼 촉촉한 옥수수를 즐길 수 있답니다.
환경을 살리는 구황작물

앞서 소개드린 가을 제철음식들은 식자재 외에도 환경을 살리는 친환경 대체품으로 활용될 수 있어요. 고구마, 감자, 옥수수는 모두 ‘전분(녹말)’을 가지고 있는데요. 전분은 식물의 잎에서 광합성 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영양분으로, 포도당으로부터 구성되는 다당류에요. 일반적으로는 튀김가루 등 요리에 사용되지만, 최근 생분해성 친환경 생활용품의 주재료로 각광받고 있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옥수수전분으로 만든 생분해성 빨대와 감자 전분으로 만든 포장지, 물과 전분을 활용해 만드는 친환경 아이스팩 충전재 등이 있어요. 플라스틱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환경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죠!
뿐만 아니라 전분을 발효시켜 만드는 연료, ‘바이오에탄올’ 은 에탄올의 대체재로 활용되거나 휘발유와 혼합돼 사용되며, 이를 통해 각종 오염물질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답니다. 맛 좋은 고구마와 감자, 옥수수가 환경에도 도움이 된다니! 정말 놀랍지 않나요?
오늘 푸루가 알려드린 가을 제철음식의 모든 것! 이번 주말에는 뜨끈~하게 찐 고구마, 감자, 옥수수로 맛있는 시간 보내면 어떨까요? 못난이 농산물을 구매해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하고, 조리 과정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면 더욱 좋겠죠? 우리 모두 함께해요~ 환경사랑!
Copyright 2021, 한국환경공단 All right reserved